동영상 인코딩 방식(CBR vs VBR)
CBR과 VBR 개념
두 낱말에 공통으로 들어 있는 BR는 Bit Rate. 전송률이란 의미입니다.
C는 고정, V는 가변. 변한다는 의미입니다.
CBR(고정 비트레이트)은 동영상 전체를 일정한 품질로 인코딩을 합니다.
VBR(가변 비트레이트)은 높은 비트레이트가 필요한 장면에서는 높은 비트레이트를, 낮은 비트레이트 장면에서는 낮은 비트레이트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한마디로 비트레이트를 최하 기준과 촤고 기준을 잡아주면 이를 토대로 장면에 따라 높은 전송률과 낮은 전송률을 자동으로 잡아줍니다.
비트레이트가 높은 장면은 움직임이 많거나 영상에 나오는 피사체의 색, 갯수가 많은 장면을 말합니다. 낮은 장면은 반대겠지요.
고정 비트레이트를 예를 들면 멜로 드라마와 액션 드라마를 같은 비트레이트로 인코딩을 해보면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액션 드라마가 멜로 드라마보다 화질이 떨어져 보이게 됩니다.
가변 비트레이트로 인코딩을 하면 그런 무술장면 등에서는 기준을 잡은 비트레이트보다 더 높은 비트레이트를 줘서 품질을 향상시키고 비트레이트를 많이 줄 필요없는 장면서에서는 기준보다 낮은 비트레이트를 줘서 필요없는 비트레이를 없애주는 방식입니다.
같은 용량의 영상이라면 CBR보다 VBR이 더 나은 겁니다.
그렇다고 VBR이 확연히 더 화질이 좋다는 것은 아닙니다.
CBR방식으로 높은 비트레이트를 줘서 인코딩을 하면 CBR도 화질 좋습니다.
단지 용량이 늘어나서 문제죠.
같은 용량대비 VBR이 좋다는 것일 뿐 무조건 VBR이 좋다는 건 아니라는 것을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CBR은 다시 1패스와 2패스 방식으로 나누어집니다.
1패스는 원본동영상을 그대로 재인코딩을 하는 방식이고 2패스는 원본 동영상을 무압축 방식으로 푼 다음 다시 인코딩을 하는 방식입니다.
1패스보다 2패스가 화질이 개선되기는 하지만 눈에 띌 정도로 개선되는 것은 아니며 2패스도 고정비트레이트 방식이므로 같은 용량으로 보았을때 VBR보다 화질이 떨어집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영상의 내용을 파악해서 정적인 장면, 색상이 단순한 장면이 많으면 CBR로, 역동적이거나 화려한 색상의 영상은 VBR 방식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Knowledge > Utility·Progra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버그-MoyeaImporterFLV_pro_setup (0) | 2011.06.07 |
---|---|
[CS5] Premiere 미디어케시 (0) | 2011.06.05 |
[Flash] 무비클립 회전 / Math.PI 함수 (0) | 2011.05.07 |
[일러스트] Live Trace 기능(벡터이미지로 변환) (0) | 2011.01.19 |
[script] while & for (0) | 2011.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