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owledge/Internet·Story

무선인터넷 종류

서 태평 2010. 4. 19. 07:21

1.Wi-Fi :
가장 대표적인 무선인터넷의 한 방식입니다.. 이것을 KT 상품명으로 구분한 것이 Nespot 입니다.
Wi-Fi 방식인 만큼 초기 설비투자비용이 적고 구축이 쉬운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속도가 최소 5Mbps(802.11B)~ 최대 23Mbps (802.11A 또는 802.11G) 입니다. 상당히 빠르지요. 차후 802.11N 표준의 장비가 설치되면최대 150Mbps의 속도까지도 가능합니다.
유무선공유기를 사용하면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며 Nespot의 경우에는 월3,000원 ~ 15,000원의 비용의 정액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무선인터넷은 단지 유선으로된 인터넷 신호를 단지 무선으로 변환시켜주는 것입니다. 간단하게 생각하세요. 바로 이 유선신호를 무선으로 변환하여 전파를 송수신하는 장비가 유무선공유기 또는 AP이며 이것을 사용자 쪽에서 전파를 송수신하는 장비를 무선랜카드 (Wi-Fi 단말)라고 합니다.
단점으로는 이동중 사용이 불가능 하며 전파의 송수신 거리가 짧아 특정 포인트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Nespot의 경우에는 전국에 13,000여 군데의 Nespot Zone이 있으며 www.nespot.com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2. Wibro :
상기의 Wi-Fi의 단점을 보완한 기술입니다. 시속 100Km의 속도로 이동중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전파의 송수신 거리가 Wi-Fi에 비하여 비약적으로 늘어났습니다. 따라서 기존의 핸드폰 기지국을 공히 사용하고 있습니다. 투자비용 절감 차원이지요.
단점으로는 속도가 Wi-Fi에 비하여 저속입니다. 평균 4Mbps정도이면 아직은 수도권 지역에서만 사용가능합니다. 또한 일부에서 음영지역이 발생하여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건물내에서도 별도의 공사를 하지 않으면 사용하기 힘듭니다.
별도의 단말 (대부분 USB타입의 전파송수신 장비를 제공해 줍니다. ) 필요하며 정액제와 종량제를 혼합한 방식을 사용합니다
통상적으로 월 30Gbyte의 데이터 이용에 28,000원 정도이며 사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상당한 비용이 부과 되오니 유의 하셔야 합니다.
단지 무선인터넷의 표준의 이름인데 이것을 KT와 SKT에서 구축한 것을 구별하기 위해서 KT Wibro와 SKT Wibro로 나누는 것 뿐입니다. 물론 두 회사는 서로 망 개방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3. WCDMA :
핸드폰의 음성 및 데이터 통화 방식인 3G를 이용하는 서비스로 전국적으로 서비스가 가능하나 너무나 고가라 함부로 사용하기 힘들며 별도의 USB 단말(Wibro 방식과도 다릅니다)이 필요하며 속도또한 2Mbps의 저속입니다. 월1Gbyte 데이터 사용량에 2만원정도의 비용을 받고 있습니다. 용량을 추가로 사용할 경우에는 패킷당 요금이 부과되며 상상을 초월하는 비용이 발생합니다. 예전에 말 많았던 월 몇백이 나온다는 것이 바로 이놈입니다.
KT의 경우 아이플러그 라는 상품으로 SKT의 경우에는 T-Login 이라는 상품입니다. 외부에서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영업사원등이 아니라며 사용하기 대단히 힘들겠죠. 허지만 전국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상기 3가지 서비스를 모두 이용하는 것을 3W 라고 합니다. 현재 출시된 스마트폰중에서는 옴니아2가 유일하게 3W 이용이 모두 가능합니다. 세가지의 단말이 스마트폰안에 모두 내장이 되어 있다는 뜻이죠!
요즘 말많은 아이폰의 경우는 Wibro 단말이 빠져 있어서 2W 서비스만 가능합니다. 종합적을 말씀을 드리면 일단은 사용자 분께서 본인이 어느 곳에서 주로 사용할 지를 결정하셔야 합니다. 외부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데도 와이브로를 가입하신 다는 것은 경제적 낭비만 초래 할 뿐입니다. 만일 외부사용이 많으시다면 와이브로 + 넷북 결합 상품을 구매하시면 와이브로를 2년이상 사용하는 조건에서 무료로 넷북을 받아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와이브로의 월 사용 데이터 용량이 정해져 있는 만큼 Nespot ID를 무료로 받아서 Nespot이 가능한 지역에서는 Nespot을 사용하시고 그 외의 지역에서는 와이브로를 사용하시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이라 말씀드릴수 있습니다.

 

★ 출처: 인터넷가입 사이트  누리정보 www.nurine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