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owledge/Utility·Program

NTSC방식과 PAL방식의 차이

서 태평 2010. 4. 3. 02:16

NTSC방식은 초당 30프레임과 525Line으로 구성됩니다.
PAL방식은 초당 25프레임과 625Line으로 구성됩니다.

이 비디오 방식이 DVR에 접목 됬을때에는 좀더 차이점이 발생됩니다.
차이점을 알아보기에 앞서, 먼저 설명되어야 할 부분이 프레임입니다.
프레임을 영어로 표기할때 FPS라고 표기하는데, FRAME PER SECOND입니다.
대부분의 DVR보드에서 프레임을 표기할때 30/30FPS, 60/60FPS,~~~ 960/480FPS등등으로 표기를 하게되는데 이것은 해당 DVR에서 지원하는 최대 프레임수를 말합니다. 

 

 320x240

NTSC 방식에서의 CIF사이즈

 

 

 352x288

PAL 방식에서의 CIF사이즈

 

 얼핏 보기에도 크기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NTSC방식에서는 크기가 약간 작은 대신 30프레임을 지원해서 부드러운 영상을 표현한다고 하면, PAL방식의 경우 NTSC방식에 비해 영상 크기가 약간 커짐으로 화질의 향상은 약간 도움이 되지만 25프레임을 사용하기 때문에 움직임이 많은 영상을 표시할때에는 부드러운 표현을 못해줄수 있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보드상에 표기되는 프레임수가 해외로 수출될 때에는 두가지 모두 표기하게 되는데

NTSC 30/30FPS    PAL    25/25FPS

보통 위와 같은 방법으로 표기를 합니다.
녹화되는 사이즈에서도 차이점이 있는데,  일반적인 BT솔루션을 사용하는 보드에서의 녹화크기입니다. 

 NTSC

 PAL 

 CIF

 320 * 240 

 352 * 288

 HALF D1

 620 * 240

 720 * 288

 D1

 620 * 480

 720 * 576

또한 프레임 표기의 기준이 되는 영상크기를 CIF(320*240 or 352 * 240 or 360 * 240)사이즈를 기준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30/30FPS지원보드라 한다면, CIF사이즈에서 최대로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수가 30/30이라는 것입니다.
또한 30/30FPS를 지원하는 보드가 최대 4채널의 카메라를 입력받는다고 한다면 4개의 카메라가 모두 30/30FPS를 지원하는 것이 아닌 4개의 카메라를 모두 연결했을때 최대로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수가 30/30FPS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30/30FPS보드에 4개의 카메라를 연결한다면 카메라 1개가 사용할수 있는 프레임수는 산술적으로 7.5프레임이 되지만 컴퓨터에서 소수점까지 프레임을 계산해서 사용하지 않으므로 채널당 최대 프레임수는 7내지 8프레임이 되는 것입니다.   이말은 30/30FPS를 지원하는 보드에 카메라를 1개만 연결한다면 1개의 카메라가 30프레임을 모두 사용한다는 뜻과도 같습니다.

여기에서 또, 확인할 것은 프레임수를 표기할때 '30/30FPS' 프레임 표시가 2개가 되는 점인데, 앞에 있는 프레임 표시는 디스플레이할때의 프레임 표시가 되고, 되에 있는 프레임 표시는 녹화 프레임수가 됩니다.
보드의 스펙에 따라 최대 960/480FPS를 지원하는 제품이 나와있는데, 우선은 계산하기 쉽도록 480/480FPS를 지원하는 보드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480/480FPS보드의 경우 보통 16채널까지 영상입력을 지원합니다.  계산하면 각 카메라당 30프레임씩 할당이 가능합니다.  물론 CIF사이즈에서의 프레임 표기입니다.